1. 정의
-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간 상호 작용을 위한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의미하며, 특정 프로그램의 기능이나 데이터를 다른 프로그램이 접근할 수 있도록 미리 정한 통신 규칙.
- Open API는 이러한 API를 외부 개발자나 제3자에게 공개하여, 다양한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가 상호 운용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개방형 인터페이스.
2. 핵심 기술 요소
3. API 유형
API 유형
|
설명
|
폐쇄형(Close API)
|
특정 회사 또는 기관 내부에서만 API를 통해 프로그램 접근 가능
|
공개형(Open API)
|
회사 또는 기관 외부의 제3자에게도 API 접근을 허용
|
4. 활용 방안
1) 핀테크(FinTech) 산업
- 금융 정보 제공 서비스에서 API 방식 활용 확대
- 스크래핑 방식의 보안 취약점을 해결하여 안전한 정보 제공 가능
2) 마이데이터(MyData) 서비스
- 고객이 자신의 데이터를 안전하게 관리 및 활용할 수 있도록 Open API 기반의 표준 적용
- 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 강화 가능
3) 기업 및 공공기관
- 내부 업무 시스템 간 연동을 통한 자동화 및 데이터 공유 용이
- 공공 데이터 개방(Open Data) 정책 추진 시 Open API 활용
5. 기술 발전 방안
1) 보안 강화
- API Gateway 및 AI 기반 보안 기술 도입
- OAuth 2.0 및 TLS 1.3 적용 확대
2) 표준화 및 규제 개선
- 글로벌 API 표준 준수 및 국내 법규와의 정합성 유지
- Open API의 보안 및 데이터 활용 범위에 대한 명확한 정책 수립
3) 고성능 API 개발
- API 응답 속도 향상을 위한 캐싱(Cache) 기술 적용
- 서버리스(Serverless) 아키텍처 활용을 통한 확장성 강화
요약
항목
|
설명
|
정의
|
프로그램 간 기능 및 데이터 공유를 위한 통신 규칙
|
API 유형
|
폐쇄형(Close API), 공개형(Open API)
|
기술 요소
|
REST, SOAP, OAuth 2.0, SSL/TLS, XML, JSON
|
스크래핑 vs API
|
스크래핑은 보안 취약, API는 안전한 정보 접근 가능
|
활용 분야
|
핀테크, 마이데이터, 공공 데이터 개방, 기업 내 시스템 연동
|
발전 방안
|
보안 강화, 표준화 및 규제 개선, 고성능 API 개발
|
'ITPE > DS' 카테고리의 다른 글
UAM(Urban Air Mobility) (0) | 2025.02.27 |
---|---|
멀티 클라우드 (Multi Cloud) (0) | 2025.02.21 |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0) | 2025.02.18 |
패브릭 컴퓨팅 (0) | 2018.06.24 |
ITWorld 용어풀이 | 인터클라우드 (0) | 2018.02.22 |
[주기동 요약] 자율주행에서 정밀도로지도의 역할 및 전망 (2025.02.19)
[자율주행에서 정밀도로지도의 역할 및 전망]
I. 자율주행 기술의 현재와 미래
1. 자율주행 기술 개요 및 발전 단계
- 자율주행 기술은 AI, 센서, 정밀도로지도, 통신 인프라 등을 결합하여 차량이 운전자 개입 없이 주행하는 기술.
- 자동화 수준은 0단계(완전 수동)에서 5단계(완전자율주행)로 구분.
- 현재 3~4단계 수준의 상용화가 진행 중이며, 도심 내 로보택시와 자율주행 셔틀버스 등이 등장.
2. 자율주행 기술의 현재 동향과 미래 전망
- 미국, 유럽, 중국 등에서 정부 주도의 연구개발 및 도로 인프라 개선이 활발히 진행 중.
- 미래에는 자율주행차가 개인화된 이동 서비스를 제공하고, 교통사고 감소 및 도시 내 교통흐름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
II. 자율주행차 센서 기술과 정밀도로지도
1. 자율주행차 센서의 특징과 정밀도로지도의 역할
- 주요 센서:
- 센서 퓨전 기술을 통해 종합적인 인식 결과 생성
- 정밀도로지도는 차선 폭, 노면 표시, 경사, 곡률 등의 정보를 센티미터 단위로 제공하여 차량이 보다 정밀한 주행이 가능하도록 지원.
2. 정밀도로지도의 제작과 활용
- 360도 라이다 센서를 탑재한 차량이 도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GIS 기반 데이터로 변환
- 활용 사례:
. 고속도로 자율주행: 차선 변경, 곡률 급변 지점 정보 제공
. 도심 자율주행: 횡단보도, 교차로 등의 정밀 정보 제공
. 주차장 내 주행 : 지하주차장 및 복잡한 실내 등 위치 추정 가능
. 물류·배달 로봇: 실내·창고 내 정밀 주행 지원
III. 자율주행 산업 동향과 정밀도로지도 시장
1. 자율주행 산업 및 정밀도로지도 시장의 부상
- 글로벌 IT 기업, 자동차 제조사, 물류 기업 등이 자율주행 기술에 투자
- 정밀도로지도 시장의 주요 기업:
센서
|
기능
|
장점
|
단점
|
||||
카메라
|
시각 정보 획득
|
색상·형상 인식 가능
|
조도·날씨 영향 받음
|
라이다
|
3D 거리 측정
|
높은 분해능
|
비용이 높음, 악천후에 취약
|
레이더
|
거리 및 속도 측정
|
악천후에도 안정적
|
해상도 낮음
|
||||
초음파 센서
|
장애물 감지
|
근거리 장애물 탐지에 유용
|
고속 주행 시 활용성 제한
|
||||
GPS·IMU(관성센서)
|
위치·방향 측정
|
전 지구적 위치 파악 가능
|
터널·건물 밀집 지역에서 오차 발생
|
기업 유형
|
역할
|
지도 제작 기업
|
고정밀 지도 데이터 구축
|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
|
실시간 도로 정보 업데이트
|
통신 인프라 기업
|
5G·V2X 기반 차량 간 정보 공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