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국가마다 서로 다른 정보보호시스템 평가 기준을 연동하고, 평가 결과를 상호 인증하기 위해 제정된 정보보안 평가기준,국제표준

 

[표준 구성]
Part1(cc 소개 및 일반모델) :  공통평가기준에 대한 소개부분. IT보안성 평가의 원칙과
일반 개념을 정의. 평가의 보편적인 모델 제시.
Part2(보안기능 요구사항) : TOE(Target of Evaluation:평가제품)에 대한 기능요구
정립 표준이 되는 기능컴퍼넌트의 집합.  패밀리 및 클래스로 구성.
Part3(보증 요구사항, EAL 단계별 요구사항) : 보호프로파일 및 보안목표명세서에 대한
평가기준 정의, 7 개 등급 보증패키지를 제시.


[특징] 평가, 보안등급체계, 관련작성 문서, 평가수행지침, 인증서 효력
-평가 : 보안 기능과 보호기능으로 나누어 평가. 각 기능 및 보증 요구는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보안요구사항을 쉽게 활용 가능한 계층적 구조 정의.
-보안등급체계 : EAL(Evaluation Assurance Level) 부여. EAL 0 : 부적절. EAM 1.0 ~ EAL 7
(정형적으로 검증된 설계 및 시험평가 보안 등급체계)
-관련작성 문서: 보호프로파일(Protection Profile), 보안 목표 명세서(Security Target).
PP : 정보 제품이 갖추어야 할 공통적인 보안 요구사항을 모아 놓은 것.ST : 요구사항을 구현할 수 있는 보안 기능 및 보증 수단 정의.
-평가수행지침 : CEM(Common Evaluation Methodology). 평가진행을 위한 방법론 혹은 프로세스.
-인증서 효력 : CCRA(Common Criteria Recognition Arrangement) 가입시 효력 발생.

 

 

 

 


[절차] 준비단계(평가제출물), 평가단계(평가보고서), 인증단계(인증서, 인증결과서), 사후관리(보안영향분석서)


[PP와 ST 비교] 그림참조


[cPP(Collaborative Protection Profile)] : 기존 필수대상이 아니었으나 3 등급 이상 상호인증을 위해 필수.
- EAL 등급기반에서 보안지침(cPP) 기반으로 변경되는 제도는 국제용에서부터 적용
- EAL3 이상 인증을 받고자 하는 국내 보안업체들은 cPP 개발 참여가 반드시 필요

 

 

이후 2020년에 개정됨

 

 

 

 

 

 

 

 

 

 

1. 관계 대수(relational algebra)

  - 절차 언어 : how, what 대상

[정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원하는 정보와 그 정보를 어떻게 유도하는가를 기술하는 절차적 언어

[일반집합연산] 합집합, 교집합, 차집합(-), 카티션 프로덕트(X)
[순수관계연산] Select, Project, Join, Division, Rename

 

 

 

 

 

 

 

 

2. 관계(relational calculus)

 - 비 절차 언어 : what

[정의] “어떻게 검색할 것인가” 보다 “무엇을 검색할 것인가” 만을 기술하는 선언적 표현법을 사용하는 비절차적 질의어

[구분] 투플 관계 해석(tuple relational calculus)와 도메인 관계 해석(domain relational calculus)으로 구분.


[관계 대수와의 차이점]
– 관계 해석은 하나의 선언적(declarative) 해석식으로 검색질의를 명시하며, 비절차적인 언어임
– 관계 대수에서는 연산들을 순차적으로 사용하므로 절차적인 성질을 가짐
– 두 언어의 표현력(expressive power)은 동등함

 

 

 

 

'ITPE > DB' 카테고리의 다른 글

Sharding  (0) 2021.03.06
데이터 리팩토링  (0) 2021.03.06
CRUD Matrix  (0) 2021.03.06
함수적 종속성  (0) 2021.03.06
데이터 모델링  (0) 2021.03.06

 

 


[정의] 물리적으로 다른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수평 분할 방식으로 분산 저장하고 조회하는 방법

 

[특징] 성능개선(큰 데이터를 압축, 개별 테이블은 각 샤드에서 더 빠른 작업을 지원),
신뢰성 개선(한 샤드가 실패하더라도 다른 샤드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 위치 추상화


[개념도]

- 샤드 키로 설정된 칼럼의 기반으로 각각의 값에 맞는 Shard 에 저장
- 사용하는 Application 단에서는 MongoS 라는 라우팅 프로세스만 연결하므로
 Shard 구조에 대해서 알 필요가 없음.

 

 


[분할방법]
1) Vertical Partitioning : 테이블 별로 서버를 분할하는 방식
2) Range based Partitioning : 하나의 feature 나 table 이 점점 거대해지는 경우 서버를 분리하는 방식.
3) Key or Hash Based Partitioning : 엔티티를 해쉬함수에 넣어서 나오는 값을 이용해서 서버를 정하는 방식.
4) Directory Based Partitioning : 파티셔닝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추상화된 서비스를 만듦.


[고려사항] 데이터 재분배, 조인불가, 파티션 등

 

 

 

'ITPE > DB'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계 데이터 언어(relational data language)  (0) 2021.03.09
데이터 리팩토링  (0) 2021.03.06
CRUD Matrix  (0) 2021.03.06
함수적 종속성  (0) 2021.03.06
데이터 모델링  (0) 2021.03.0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