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랜은 "무선 인터넷을 더 싸고, 빠르고, 쉽게 만들기 위한 새로운 방식" 입니다.

예를들어, 기존에는 핸드폰이 인터넷에 연결되려면 여러 장비들이 필요했는데, 그 장비들은 모두 같은 회사에서 나와야만 서로 잘 작동했습니다. 이걸 ‘벤더 종속성’이라고 하죠. 그래서 장비를 바꾸거나 고치기 어렵고, 비용도 많이 들었죠.

오픈랜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서로 다른 회사에서 만든 장비라도 쉽게 연결되도록 표준을 만들어서, 누가 만들었든 잘 작동하게 하는 기술입니다. 이걸 "개방형 아키텍처"라고 부릅니다.

 

 

I. 정의

오픈랜(Open Radio Access Network, O-RAN)은 기존 무선 접속망(RAN)의 폐쇄적 구조를 탈피하여, 장비 간 상호 운용성을 확보하고 소프트웨어 정의 기반의 가상화를 적용한 개방형 아키텍처 기술.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분리하며, 벤더 종속성을 줄이는 것이 목적.

II. 핵심 기술

1) O-RAN 아키텍처 구성

구성요소
설명
예시
O-CU (Centralized Unit)
- RRC, PDCP 계층을 처리하는 중앙 집중식 제어 장치. Control Plane과 User Plane으로 구분
- 통신을 어떻게 할지 관리하고, 데이터가 어디로 가야 하는지 알려주는 역할
O-DU (Distributed Unit)
- RLC, MAC, High PHY 계층의 실시간 처리 담당. O-RU 근처에 위치하여 분산처리 수행.
- O-CU와 O-RU 사이에서 데이터를 계산하고 연결해 주는 역할
O-RU (Radio Unit)
- RF 신호의 디지털 변환 및 전송 담당. Low PHY, RF Front End, Beamforming 기능 수행.
- 직접 통신하고, 전파를 디지털 신호로 바꿔주는 역할
RIC (RAN Intelligent Controller)
- Near-RT RIC: 단말 수준 자원 제어, 핸드오버, QoS 제어 등 실시간 제어 기능 수행
- Non-RT RIC: 정책 관리, AI 기반 분석 등을 통한 비실시간 제어 기능 수행
전체 네트워크를 더 효율적으로 관리
(지능형 제어기)
Fronthaul
- O-RU와 O-DU 간의 디지털 데이터 전송 링크로, 개방형 표준을 통해 고속·고효율의 데이터 전송 실현
연결 기술

 

2) 기술적 특성

- 하드웨어 독립성 확보

- 다양한 벤더 장비 간 호환성 보장

- 가상화 및 클라우드 기반 네트워크 운영 가능

 

III. 기술 활용 방안

활용 방안
세부 내용
유연한 네트워크 설계
산업별 다양한 요구사항(예: 스마트시티, 자율주행)에 맞춘 맞춤형 설계 가능
비용 절감
COTS(기성품) 하드웨어 사용 및 벤더 경쟁 유도에 따른 인프라 구축 비용 절감
보안 강화
네트워크 구성요소 및 데이터 흐름에 대한 가시성 확보, 취약점 탐지 용이
생태계 확대
다수 기업과 개발자 참여를 통한 기술 혁신 촉진 및 글로벌 협력 가능성 확대

 

IV. 기술 발전 방안

1) 정부 정책 및 지원

- ORIA(Open RAN Industry Alliance) 주도의 테스트베드 구축, 국제 인증 체계(K-OTIC) 운영

2) R&D 전략

- 중장기 기술개발 로드맵 수립 (도입기–성장기–성숙기)

- 5G에서 6G로의 연계 R&D 추진

3) 국제 공동 연구

- 표준화 선점을 위한 글로벌 협력

- 주요 국가와의 공동 기술개발 및 표준 정립

4) 보안 대응 전략

- 제로트러스트 기반 접근제어, SBOM 기반 위협 분석

- AI 기반 모니터링 및 적대적 학습 대응 기술 확보

 

V. 기존 RAN과 O-RAN 비교

구분
기존 RAN
O-RAN
공급 방식
단일 벤더
다중 벤더
플랫폼 구조
공급사 종속, 고비용
소프트웨어 정의, 화이트박스 기반
제어 구조
통합형
분리형(Open API 기반)
적응성
고정 제어 로직
네트워크 조건 기반 유연한 프로그래밍 가능

 

 

VI. O-RAN 정리

항목
내용
정의
하드웨어-소프트웨어 분리를 기반으로 한 개방형 무선 접속망 아키텍처
핵심 구성요소
O-CU, O-DU, O-RU, RIC (Near-RT / Non-RT)
핵심 기술
가상화, 개방형 Fronthaul,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AI 기반 자원 제어
활용 방안
비용 절감, 유연한 네트워크 설계, 보안성 확보, 생태계 확대
발전 방안
정부 정책 지원, 기술 R&D 추진, 국제 공동 연구, 보안 체계 고도화
기존 RAN과 차이점
폐쇄형 → 개방형, 단일 벤더 → 다중 벤더, 고정 로직 → 동적 제어

 

'ITPE > NW'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흐름 제어 (Flow Control)  (0) 2025.03.28
MQTT 프로토콜 참고  (0) 2018.03.02
NDN  (0) 2018.02.26

+ Recent posts